📚 서비스경험디자인기사

안녕하세요. 오늘은 서비스경험디자인기사의 총정리 포스팅을 적어보려합니다. 필자는 2023년 제 4회차 필기, 실기를 한번에 합격했습니다. 저의 개인적인 공부방법의 노하우는 "목차별 정리" 공부방법이었습니다. (참고로 저는 컴퓨터 공학과 전공 출신 기획자이고, 디자인 및 UI&UX 관련 자격증을 보유하지 않아 스펙 쌓을 겸 시작했던 기사자격증 공부였지만, 현업에서도 적용하고 녹여낼 수 있을 법한 내용들을 공부해보며 유익하고 흥미있었던 공부였습니다.) "목차별 정리 공부방법"은 각 챕터별 목차를 정리해 키워드 중심으로 공부하는 방식으로, 전체 내용의 흐름을 연결하여 이해하고 암기함과 동시에 세부 키워드를 기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시험을 볼때 '키워드' 중심으로만 공부를 하게되면, 어떤 챕터에 어느..
서비스경험디자인기사 필기, 실기시험에 핵심정보인 개념정리를 시각화하여 이해하기 쉽게 정리한 포스팅입니다. 아래의 내용은 전달하기 단계의 프로토타입 평가에 해당하는 대시보드, 정보디자인, 데이터시각화, 인포그래픽, 트리플바텀라인, ESG경영, 디자인권, 공지증명제도, BM특허의 개념을 정리하였습니다. 6. 완료하기 개발된 서비스디자인을 돋보이게 하기 위하여 어떻게 설득을 위한 프레젠테이션을 준비해야 할지 사례를 통해 배우고 디자인권리 등 서비스디자인을 보호받는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6.1 프리젠테이션 및 결과 보고서 작성 6.1.1 시선을 사로잡아라 문서와 용지의 포맷부터 확인 (세로 : 텍스트 중심의 공식화된 문서, 가로: 이미지 중심의 발표용 문서) 제목과 번호 체계를 활용해 대제목, 중제목, 소제목..
서비스경험디자인기사 필기, 실기시험에 핵심정보인 개념정리를 시각화하여 쉽게 정리한 포스팅입니다. [서비스경험디자인기사] 5. 전달하기 Deliver (1) 개념정리 (프로토타입평가, 파일럿테스트, AEIOU, 정 서비스경험디자인기사 필기, 실기시험에 핵심정보인 개념정리를 보다 쉽고, 이해될 수 있도록 정리한 포스팅입니다. 아래의 내용은 전달하기 단계의 프로토타입 평가에 해당하는 파일럿테스트 youngplan.tistory.com 위의 포스팅은 개발하기 단계의 아이데이션, 서비스경험 구조화 및 설계에 관한 내용으로 아래의 내용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아래 내용은 개발하기 단계의 서비스경험디자인 모델 개발에 해당하는 서비스경험청사진, 비즈니스모델 캔버스, 서비스 스토리보드, 서비스 시나리..
서비스경험디자인기사 필기, 실기시험에 핵심정보인 개념정리를 보다 쉽고, 이해될 수 있도록 정리한 포스팅입니다. 아래의 내용은 전달하기 단계의 프로토타입 평가에 해당하는 파일럿테스트, AEIOU, 정성적데이터분석, 정량적데이터분석, 사용성평가, 휴리스틱평가의 개념을 정리하였습니다. 5. 전달하기 Deliver 서비스디자인의 Deliver(전달) 과정은 앞선 아이디어들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서비스경험디자인 과정동안 만들었던 콘셉트와 제안들을 명료하게 전달하는 과정이다. 5.1 프로토타입 평가 서비스 디자인 중반부 프로토타이핑 - 아이디어 전개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낮은 충실도(Lo-Fi)로 신속하게 제작되면서 이해관계자들 간의 활발한 상호작용을 통해 서비스 콘셉트를 검토하고 테스트하며 발전시키는데 목표..
서비스경험디자인 기사 필기, 실기시험에 핵심정보인 개념정리를 시각화하여 이해하기 쉽게 정리한 포스팅입니다. [서비스경험디자인기사] 4.개발하기 Devlop (1,2)개념정리 (공동창작, 퍼실리테이션, 브레인스토밍, 서비스경험디자인 기사 필기, 실기시험에 핵심정보인 개념정리를 보다 쉽고, 이해될 수 있도록 정리한 포스팅입니다. 아래의 내용은 개발하기 단계에 해당하는 공동창작, 퍼실리테이션, 브레인 youngplan.tistory.com 위의 포스팅은 개발하기 단계의 아이데이션, 서비스경험 구조화 및 설계에 관한 내용으로 아래의 내용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아래 내용은 개발하기 단계의 프로토타입 개발에 해당하는 프로토타입, 로우/하이 피델리티, 오즈의 마법사, 서비스 스토리보드, 서비스시..
서비스경험디자인 기사 필기, 실기시험에 핵심정보인 개념정리를 시각화하여 이해하기 쉽게 정리한 포스팅입니다. 아래의 내용은 개발하기 단계에 해당하는 공동창작, 퍼실리테이션, 브레인스토밍, 바디스토밍, 만다라트, 여섯 색깔 모자기법, 스캠퍼, 서비스 터치포인트 매트릭스 개념을 정리하였습니다. 4. 개발하기 Devlop 아이디어를 발전시키기 위한 워크숍, 공동창작 진행방법과 서비스 디자인을 발전시키기 위한 프로토타입, 서비스 시나리오 개발 등에 대하여 알아본다. 4.1 아이디어 또는 해결책을 모색하는 단계 : 아이데이션 (ideation) 📌 아이데이션(ideation) : 아이디어 그 자체가 아닌 아이디어 도출과정, 즉 새로운 아이디어 생성, 발전, 커뮤니케이션 등의 과정 : 다양한 이해관계자와의 공동창작(..
서비스경험디자인 기사 필기, 실기시험에 핵심정보인 개념정리를 시각화하여 이해하기 쉽게 정리한 포스팅입니다. 아래의 내용은 정의하기 단계에 해당하는 페르소나, 고객여정지도, 이해관계자지도, 사일로현상, 친화도분석, 서비스경험디자인원칙 개념을 정리하였습니다. 3. 정의하기 Define 기초 데스크 리서치, 환경조사방법과 이해관계자 분석, 설문, 인터뷰, 관찰 등 서비스디자인 조사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3.1 서비스경험디자인 요구사항 파악 3.1.1 페르소나 (Persona) 📌 페르소나 : 어떤 제품 혹은 서비스를 사용할 만한 목표 인구 집단 안에 있는 다양한 사용자 유형들을 대표하는 가상의 인물이다. (앨런 쿠퍼 도입) 특정상황과 환경 속에서 어떤 인물이 어떻게 행동할 것인지 예측하기 위해 실제 사용자 자..
서비스경험디자인 기사 필기, 실기시험에 핵심정보인 개념정리를 시각화하여 이해하기 쉽게 정리한 포스팅입니다. [서비스경험디자인기사] 2. 발견하기 Discover(2) 관찰조사 개념정리 (자문화기술지, 온라인 에스노 서비스경험디자인 기사 필기, 실기시험에 핵심정보인 개념정리를 시각화하여, 이해하기 쉽게 정리한 포스팅입니다. 아래의 내용은 관찰조사에 해당하는 자문화기술지, 온라인 에스노그래피, youngplan.tistory.com 위의 포스팅은 관찰조사 중 자가기록연구와 참여자연구에 관한 내용과 아래 포스팅 내용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아래 내용은 관찰조사의 비참여 관찰에 해당하는 모바일에스노그래피, 문화적 프로브, 편향, 헤일로효과, 프라이밍효과 개념을 정리하였습니다. 2. 발견하기 ..
기획하는뇽뇽씨
'📚 서비스경험디자인기사'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