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갓생기획입니다.오늘 포스팅해볼 주제는 "A-Z까지의 프로세스를 경험해 본 기획자", "서비스 기획단계에서 출시 및 운영까지의 경험", "a-z까지 주도적 업무 경험" 등의 대한 해석을 5가지로 분류하여 정리해 보자. 해당 문구는 서비스기획자, UI&UX 기획자 채용공고를 통해 많이 봤던 문구일 것 이다.필자는 'A-Z의' 문구를 보며 정확한 의미와 해석이 궁금해졌고, 경력서와 포트폴리오에 녹여낼 수 있는 방법을 작성해보려 한다. 주니어는 업무에 활용하여 해당 경험을 적극적으로 만들 수 있는 기회, 시니어 분들께서는 본인의 경험을 어떤 식으로 녹여내면 좋을지 함께 생각해 볼 수 있는 의미 있는 포스팅이기를 바란다. A-Z까지 모두 경험해 본 기획자 서비스 구축 경험에 대해 묻는 것이다.신규..
정보구조도(Information Architecture, IA)란?정보구조도란 서비스 내 정보의 배치와 흐름을 시각화한 설계도이며, 서비스 목차 역할을 수행하는 문서이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원하는 정보를 쉽고 빠르게 찾고, 이해할 수 있도록 콘텐츠를 체계적으로 구성하는 과정"내부 작업자 입장에서는 "우리의 서비스(웹/앱 등)의 화면을 정의하고, 화면 내에 포함된 기능을 정의하는 도구 "로 정의할 수 있다. 📌 정보구조도의 구성요소 서비스 흐름(Service Flow)사용자가 정보를 탐색하는 경로 콘텐츠 계층(Contents layer)상위-하위 정보의 논리적 구조내비게이션 패턴(Navigation patterns)정보 접근 방식 (탭/ 메뉴/ 허브 앤 스포크 등) 아래에서 설명 페이지 관계(P..
현업에서 웹을 주로 다루다 보니, 모바일 서비스 기획에 필요한 앱의 기초지식을 쌓고자 해당 포스팅을 작성했다. 기초적인 내용이지만 헷갈리기 쉬운 개념이기에 잘 잡아두면 좋겠다. 어떤 앱의 형태를 선택하느냐에 따라 구현에 필요한 시간, 비용, 인력을 예상할 수 있기 때문이다. 모바일 앱의 형태로는 크게 4가지로 모바일웹, 웹 앱, 하이브리드앱, 네이티브앱이 있다. 웹앱, 모바일 웹은 Web에 해당하며, 네이티브 앱은 App, 하이브리드 앱은 Web+App에 해당한다. 각 형태의 정의와 예시, 장단점에 대해 알아보자. 1. 웹 기본적으로, 웹을 실행하는 환경은 '브라우저'이고 웹을 제공하는 곳은 '웹서버'이다. 사용자가 브라우저에 URL을 호출하면 웹서버에서 브라우저 화면에 웹을 그리는 전체적인 과정('브라..
들어가며, 타업체에서 개발한 백오피스를 유지·운영하면서 수면위로 나타난 문제와 불편함에서부터 비롯된 깨달음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현재 내가 유지운영하고 있는 백오피스는 보안관리 메뉴가 존재하지 않는다. 접근허용 IP, 일반 관리자 생성 및 메뉴 접근 권한에 대한 기능이 없으므로 (모든 관리자가 슈퍼관리자인 셈) 보안에 매우 취약하다. 외부 사용자가 ID/PW를 탈취하기라도 한다면 모든 개인정보를 포함한 데이터를 탈취·조작할 수 있다는 '보안문제'에 마주했고, 기획자가 알아두면 좋을 보안관리 기능 및 중요성에 대해 다뤄보겠다. 백오피스? CMS? 관리자페이지? 백오피스(Backoffice)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필요한 기능이 담긴 내부 관리 도구이다. 어드민(admin), 운영툴, CMS(Contents..
해당 글은 토스페이먼츠의 용어사전을 참조하여 포스팅했습니다. 가상계좌 가상계좌란? 온라인 결제를 위해 고객에게 발급되는 임시 계좌로써, '무통장입금'으로 불리기도 한다. 고객이 가상계좌를 요청하면, 고객의 이름으로 임시 계좌가 발급되고, 해당 계좌에 정확한 금액을 입금하면 결제가 완료된다. 무통장입금은 복잡한 본인인증 절차가 생략된다. 가상계좌 결제 프로세스 가상계좌의 특징 정해진 금액을 설정된 기한 내에 입금해야 한다. 또한, 주문의 입금 금액을 한번에 송금해야 한다. 입금 기한, 금액, 계좌번호, 은행이 모두 일치한다면 입금자명과 주문자명은 달라도 결제는 이루어진다. 결제를 요청시 가상계좌를 발급하기에 결제 완료 시점은 고객이 정한다. 결제를 미룰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카드결제 프로세스 : 인..
와이어프레임(Wireframe) 와이어프레임(wireframe)이란 웹·앱의 골격이나 사용자 인터페이스(UI) 및 핵심 기능을 보여주기 위해 선과 도형으로 만든 간단한 형태 또는 프레임이다. 와이어프레임은 도구를 이용하여 작성하기도 하고, 필자처럼 손으로 작성하는 방법도 있다. 툴을 사용해서 그리는 것이 더 깔끔한 장점이 있지만, 나는 직접 그리는 것을 선호하는 편이다. 그 이유는 더욱 논리를 작성하는 과정에 집중할 수 있기 때문이다. - 와이어프레임의 특징 실제 구현되는 앱이나 웹상에 포함되는 비디오 혹은 이미지, 컬러 등이 들어가지 않기에 실제 구현될 제품의 모습과 다르다. 요구사항을 빠르게 반영하여 그려봄으로써 팀원들의 피드백을 쉽고 빠르게 받을 수 있다. 아이디어를 와이어프레임으로 구체화시킴으로써..
이전 포스팅에서는 기획자가 알림톡 앱 푸시 기획 시 알아두어야 할 것의 '기획 항목 및 마케팅 활용동의와 광고성 정보 동의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번포스팅에서는 카카오톡 알림톡과 친구톡의 차이점에 관해 포스팅해보겠다. 비즈메세지란? 기업고객이 자사의 카카오톡 채널을 통해 카카오톡 이용자에게 비즈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는 상품이다. 대표적인 것으로 알림톡과 친구톡이 있다. 알림톡? 친구톡? 무슨차이점이 있을까? 알림톡 친구톡 발송 방식 기업 고객사 API 연동 후 자동 발송 발송 내용 정보성 메시지 (고객의 행동에 따라 즉각적으로 발송하는 정보성 내용으로 "주문/예약 확인, 결제내역, 배송 현황 메시지" 등이 해당된다.) 광고성 메시지 (전송자가 경제적 이득을 목적으로 전송하는 전송자에 관한 정보, 전송자가 ..
알림톡을 기획하고자 한다면 알림톡의 정의와 알림톡 기획, 법률상식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기획자가 알림톡 기획 시 체크해야 할 것들을 담았으니 작업 시 참고하여 진행하면 좋겠다. 알림톡이란 기업 고객이 카카오톡으로 사용자에게 정보성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는 서비스로써, 기업고객은 공식딜러사(알림톡 제공업체)를 통해 API를 제공받아 연동하여 개발할 수 있다. 1. 알림톡 업체와 계약이 완료되어 있어야 한다 우선적으로 진행되어야 하는 것은 " 알림톡 업체와 계약이 완료되어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아래는 카카오톡 알림톡/친구톡 공식 딜러사 업체 정보이다. 업체 소개 관련해서는 아래 공식 딜러사를 고민해 보는 것을 추천한다. - 알림톡 개발 요청 시 개발자에게 제공되어야 하는 정보 (계약)_ 알림톡 AP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