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스팅이란?
인터넷상에서 서비스를 운영하는데 필요한 서버 공간을 전체 또는 일부를 임대해 주는 서비스이다.
- 호스팅의 종류
웹호스팅 | 클라우드 | 서버호스팅 |
- 웹호스팅? 서버? 클라우드? 세 개의 차이점이 뭐야?
웹호스팅 | 서버(Server) | 클라우드 서버(Cloud Server) | |
사용목적 | 초기 서버 구축과 인프라 관리에 부담이 있는 사용자의 소규모 웹사이트 운영 | 고정적으로 트래픽과 용량이 많이 필요한 대규모 서비스 운영 | 잦은 트래픽 증감으로 유연한 서버 활용이 필요한 서비스 운영 |
주 사용자 | - 회사 홈페이지 운영 - 블로그 운영 - 커뮤니티 운영 |
- 대형 쇼핑몰 업체 - ERP 운영자 - 인트라넷 운영자 |
- 웹/앱 게임 운영 - 일시적 이벤트 업체 - 개발테스트 |
초기구축 | X | O | X |
과금 | 월정액 | 설치비 및 월정액 | 사용량에 따라 부과(후불) |
서버 관리 인력 | 필요없음 | 필요 | 필요 |
서버 관리 권한 | -일반 사용자용 권한 -마음대로 조절 불가 |
- 독보적 관리자 권한 - 마음대로 조절 가능 |
- 독보적 관리자 권한 - 마음대로 조절 가능 |
결론적으로
'서버'는 물리적 장비로써 고정적으로 단독 사용이 필요하고 트래픽이 많이 몰리는 서비스에 적합하다.
'클라우드'는 트래픽이 일정하게 발생하지 않는 단발성 이벤트성 서비스에 적합하다.
처음 견적서 요청 시 작성한 내용
견적서를 의뢰 하려고하니 어떤 내용으로 견적을 요청해야 할지 막막했다. 커뮤니티 사이트에 나와있는 대로 견적요청을 적어서 의뢰했다. 필자가 선정한 클라우드 업체는 '네이버, KT, 가비아' 총 3군데 업체를 선택했다. 해외 클라우드 업체로는 아마존이 가장 유명한데, 클라이언트가 국내 클라우드를 사용해야 했다. ( KT 클라우드는 연락조차 안 왔다는...)
개발언어, DB언어, 사용목적, 요청사항,
스펙 (CPU, RAM, HDD, 네트워크용량, 필요서비스)
[개발언어] : PhP / DB : Mysql
[ 사용목적 ]
① 편지접수 (최대 1GB, 30만 장)
② 이미지 사진 접수(최대 10mb, 5만 장)
③ 이벤트성 페이지, 안정적인 운영 필요
[기존 사용 스펙]
① CPU : intel Quad-core
② RAM : 8GB + 8GB
③ HDD : Sata 1TB
④ 네트워크 용량 : 10 Mbps(월)
- 그렇게 되니, 의사소통의 문제가 생겼다
네트워크는 종량제 형태로 요금이 부과되시고요~
견적서 드릴 때 논리 구성을 2 Tire로 해야 할지, 3 Tire로 해야 할지 고민이 되네요..
해당 웹사이트 운영하실 때 Web, DB서버의 리소스 사용량 비율 혹시 아시나요?
적어주신 스펙으로 봤을 때는 서버가 분리되어 있는 건 아닌 것 같은데..

????????????????????
너무 당황스러웠지만 그때 내가 할 수 있는 말은 "일단 기존 서버(웹호스팅) 업체에 Web/DB서버 분리, 리소스 사용 비율 알아보고 말씀드리겠습니다." 뿐이었다.
알아보고, 찾아보고, 내 것으로 만들고, 지금에서야 글을 작성하고 있다.
- 🔎클라우드의 기본적인 내용은 알고 있어야지!
1. 2-tier와 3-tier (아키텍처 구조)

2-tier 웹 아키텍처 구조는 웹서버가 DB에 연결되어 있는 형태이다. 주로 트래픽이 많지 않은 경우 사용하는 구조이며, 클라이언트가 직접 서버의 DB에 접속하여 자원을 활용한다. 편리하지만 보안에 취약하고 유지보수가 어렵다.

3-tier 웹 아키텍쳐 구조는 웹서버와 DB를 논리적으로 분리한 형태이다. 또한 Application Layer에서 웹서버와 WAS를 구분한 것이 핵심이다. Web Server가 Client의 요청과 접속관리를 주관하고, WAS가 웹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주관한다.
- Web Server : 사용자가 보는 GUI, 인터페이스, 웹 화면을 제공해 주는 서버이다.
- Application Server : 사용자가 요청하는 상품주문, 결제, 검색 등의 다양한 기능을 처리하는 서버이다.
- DataBase Server : 사용자 요청 시 데이터 기입이나 변경 작업을 지원하고 데이터를 보관하는 서버이다.
2. OS(Operation System: 운영체제)
운영체제(Operation System)란?
사용자와 하드웨어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해 효율적으로 응용 프로그램이 동작하도록 지원하고,
시스템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응용 프로그램이 원활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운영체제의 종류
윈도우(Windows) | microsoft에서 개발한 운영체제.노트북 및 서버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된다. |
macOS | apple에서 개발한 운영체제. mac 컴퓨터 및 노트북에서 사용된다. |
리눅스(Linux) | 오픈 소스 운영체제로, 서버 시스템 및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된다. 안정성과 보안성이 높다는 특징이 있다. |
유닉스(UNIX) | 다중 사용자 및 다중 작업을 지원하는 운영체제로, 서버환경에서 주로 사용된다. 안정성과 신뢰성이 높다는 특징이 있다. |
클라우드 사용 시 Web Server/ Was Server/ DB Server에 해당하는 운영체제, CPU의 core 수, 용량(GB)을 설정해야 한다.
3. Network Traffic
네트워크 트래픽(Network Traffic)이란?
서버를 통해 최종 사용자에게 전달된 데이터의 양을 말한다.
[함께 알아두면 좋은 네트워크 용어]
인바운드(InBound) : 사용자가 이미지, 데이터 등을 전송하는 등 네트워크에 들어오는 정보를 의미한다.
아웃바운드(OutBound) : 사용자가 첨부파일 다운로드 등 데이터를 요청할 경우 네트워크에서 나가는 정보를 의미한다.
* 보통 클라우드에서 인바운드 트래픽 비용은 무료이고, 아웃바운드의 경우에 네트워크 구간 및 사용량에 따라 차등 과금이 이루어진다.
4. Storage (클라우드 백업, SSD, HDD, Object Storage)
스토리지(Storage)이란?
대용량 데이터 저장장치를 의미한다.
클라우드 백업 : 클라우드 기반 서버에 중요 데이터의 중복 복사본을 여러 개 저장하는 방식이다. 파일 혹은 디렉터리 단위로 백업이 진행되며, 백업의 단위는 Client(고객)이 정할 수 있다. (ex, 주 단위 백업, 일 단위 백업 등)
SSD : 플래시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장치이다. 빠르고 효율성이 높은 저장장치이지만, 비용이 비싸다.
HDD :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장치이다. 데이터에 자주 접근하지 않고 저렴한 비용을 원할 때 적합하다.
Object Storage : 사용자가 인터넷상에 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구축된 오브젝트 스토리지이다. 안전한 보관 혹은 대용량 데이터, 서버 데이터의 백업 및 복구용도, 소스코드 백업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그렇다면, 어떻게 견적을 요청해야 될까?
필자는 아래와 같은 사항을 체크해서 클라우드 견적요청을 제안한다.
개발언어, DB, OS, 사용목적, Storage, 보안시스템(추후 협의)
사실상 위의 내용들을 모두 포함하고 알아두는 것도 중요하지만, 클라우드를 사용하려고 하는 운영자의 목적이 가장 중요하다. 트래픽이 많이 몰리는 웹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는지, 안정화를 위해 3-tier 구조를 사용할 것인지, 보안서비스는 어떤 것을 사용할 것인지, 백업서비스 사용여부까지 결정하면 클라우드 견적과 계약은 문제없이 진행될 수 있다.
↓ 함께 읽으면 좋은 포스팅↓
[주니어 PM] 주니어 기획자가 PM직무를 맡게 되었다.
필자는 SI 업체에서 약 2년간 기획자로써 일을했다. 주로 맡은 업무는 기능고도화, 메인화면 디자인개편, 구축프로젝트 등 다양한 프로젝트를 경험해보고 나니 '웹 기획'의 기본기를 다질 수 있
youngplan.tistory.com
[서비스기획] 기획자가 '알림톡, 앱 푸시 기획'시 알아두어야 할 것 (기획 항목, 마케팅 활용 동의
알림톡을 기획하고자 한다면 알림톡의 정의와 알림톡 기획, 법률상식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기획자가 알림톡 기획 시 체크해야 할 것들을 담았으니 작업 시 참고하여 진행하면 좋겠다. 알림톡
youngplan.tistory.com
[서비스기획] 기획자가 '알림톡, 앱 푸시 기획'시 알아두어야 할것 2 (카카오톡 알림톡과 친구톡
이전 포스팅에서는 기획자가 알림톡 앱 푸시 기획 시 알아두어야 할 것의 '기획 항목 및 마케팅 활용동의와 광고성 정보 동의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번포스팅에서는 카카오톡 알림톡과 친구톡
youngplan.tistory.com
'PM_프로젝트 매니저' 카테고리의 다른 글
[PM/infra] 다중 서버 환경에서 소스코드 동기화 문제와 로그인 세션 문제 해결하기 (sticky session) (0) | 2024.02.28 |
---|---|
[PM/infra] ip주소변경 방법과 공인 IP와 사설 IP의 차이점을 알아보자 (0) | 2024.02.22 |
[PM/infra] www. 설정은 어떻게 하나요? (도메인, 호스트네임, 서브도메인, www 설정, 네임서버, DNS) (0) | 2024.02.07 |
[PM/infra] PM이 클라우드 계약시 알아두면 좋은 것( SSL과 HTTPS, IPS, WAF 등 보안서비스,MSP 개념) (0) | 2024.01.26 |
[주니어 PM] 주니어 기획자가 PM직무를 맡게 되었다. (0) | 2024.01.19 |
호스팅이란?
인터넷상에서 서비스를 운영하는데 필요한 서버 공간을 전체 또는 일부를 임대해 주는 서비스이다.
- 호스팅의 종류
웹호스팅 | 클라우드 | 서버호스팅 |
- 웹호스팅? 서버? 클라우드? 세 개의 차이점이 뭐야?
웹호스팅 | 서버(Server) | 클라우드 서버(Cloud Server) | |
사용목적 | 초기 서버 구축과 인프라 관리에 부담이 있는 사용자의 소규모 웹사이트 운영 | 고정적으로 트래픽과 용량이 많이 필요한 대규모 서비스 운영 | 잦은 트래픽 증감으로 유연한 서버 활용이 필요한 서비스 운영 |
주 사용자 | - 회사 홈페이지 운영 - 블로그 운영 - 커뮤니티 운영 |
- 대형 쇼핑몰 업체 - ERP 운영자 - 인트라넷 운영자 |
- 웹/앱 게임 운영 - 일시적 이벤트 업체 - 개발테스트 |
초기구축 | X | O | X |
과금 | 월정액 | 설치비 및 월정액 | 사용량에 따라 부과(후불) |
서버 관리 인력 | 필요없음 | 필요 | 필요 |
서버 관리 권한 | -일반 사용자용 권한 -마음대로 조절 불가 |
- 독보적 관리자 권한 - 마음대로 조절 가능 |
- 독보적 관리자 권한 - 마음대로 조절 가능 |
결론적으로
'서버'는 물리적 장비로써 고정적으로 단독 사용이 필요하고 트래픽이 많이 몰리는 서비스에 적합하다.
'클라우드'는 트래픽이 일정하게 발생하지 않는 단발성 이벤트성 서비스에 적합하다.
처음 견적서 요청 시 작성한 내용
견적서를 의뢰 하려고하니 어떤 내용으로 견적을 요청해야 할지 막막했다. 커뮤니티 사이트에 나와있는 대로 견적요청을 적어서 의뢰했다. 필자가 선정한 클라우드 업체는 '네이버, KT, 가비아' 총 3군데 업체를 선택했다. 해외 클라우드 업체로는 아마존이 가장 유명한데, 클라이언트가 국내 클라우드를 사용해야 했다. ( KT 클라우드는 연락조차 안 왔다는...)
개발언어, DB언어, 사용목적, 요청사항,
스펙 (CPU, RAM, HDD, 네트워크용량, 필요서비스)
[개발언어] : PhP / DB : Mysql
[ 사용목적 ]
① 편지접수 (최대 1GB, 30만 장)
② 이미지 사진 접수(최대 10mb, 5만 장)
③ 이벤트성 페이지, 안정적인 운영 필요
[기존 사용 스펙]
① CPU : intel Quad-core
② RAM : 8GB + 8GB
③ HDD : Sata 1TB
④ 네트워크 용량 : 10 Mbps(월)
- 그렇게 되니, 의사소통의 문제가 생겼다
네트워크는 종량제 형태로 요금이 부과되시고요~
견적서 드릴 때 논리 구성을 2 Tire로 해야 할지, 3 Tire로 해야 할지 고민이 되네요..
해당 웹사이트 운영하실 때 Web, DB서버의 리소스 사용량 비율 혹시 아시나요?
적어주신 스펙으로 봤을 때는 서버가 분리되어 있는 건 아닌 것 같은데..

????????????????????
너무 당황스러웠지만 그때 내가 할 수 있는 말은 "일단 기존 서버(웹호스팅) 업체에 Web/DB서버 분리, 리소스 사용 비율 알아보고 말씀드리겠습니다." 뿐이었다.
알아보고, 찾아보고, 내 것으로 만들고, 지금에서야 글을 작성하고 있다.
- 🔎클라우드의 기본적인 내용은 알고 있어야지!
1. 2-tier와 3-tier (아키텍처 구조)

2-tier 웹 아키텍처 구조는 웹서버가 DB에 연결되어 있는 형태이다. 주로 트래픽이 많지 않은 경우 사용하는 구조이며, 클라이언트가 직접 서버의 DB에 접속하여 자원을 활용한다. 편리하지만 보안에 취약하고 유지보수가 어렵다.

3-tier 웹 아키텍쳐 구조는 웹서버와 DB를 논리적으로 분리한 형태이다. 또한 Application Layer에서 웹서버와 WAS를 구분한 것이 핵심이다. Web Server가 Client의 요청과 접속관리를 주관하고, WAS가 웹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주관한다.
- Web Server : 사용자가 보는 GUI, 인터페이스, 웹 화면을 제공해 주는 서버이다.
- Application Server : 사용자가 요청하는 상품주문, 결제, 검색 등의 다양한 기능을 처리하는 서버이다.
- DataBase Server : 사용자 요청 시 데이터 기입이나 변경 작업을 지원하고 데이터를 보관하는 서버이다.
2. OS(Operation System: 운영체제)
운영체제(Operation System)란?
사용자와 하드웨어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해 효율적으로 응용 프로그램이 동작하도록 지원하고,
시스템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응용 프로그램이 원활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운영체제의 종류
윈도우(Windows) | microsoft에서 개발한 운영체제.노트북 및 서버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된다. |
macOS | apple에서 개발한 운영체제. mac 컴퓨터 및 노트북에서 사용된다. |
리눅스(Linux) | 오픈 소스 운영체제로, 서버 시스템 및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된다. 안정성과 보안성이 높다는 특징이 있다. |
유닉스(UNIX) | 다중 사용자 및 다중 작업을 지원하는 운영체제로, 서버환경에서 주로 사용된다. 안정성과 신뢰성이 높다는 특징이 있다. |
클라우드 사용 시 Web Server/ Was Server/ DB Server에 해당하는 운영체제, CPU의 core 수, 용량(GB)을 설정해야 한다.
3. Network Traffic
네트워크 트래픽(Network Traffic)이란?
서버를 통해 최종 사용자에게 전달된 데이터의 양을 말한다.
[함께 알아두면 좋은 네트워크 용어]
인바운드(InBound) : 사용자가 이미지, 데이터 등을 전송하는 등 네트워크에 들어오는 정보를 의미한다.
아웃바운드(OutBound) : 사용자가 첨부파일 다운로드 등 데이터를 요청할 경우 네트워크에서 나가는 정보를 의미한다.
* 보통 클라우드에서 인바운드 트래픽 비용은 무료이고, 아웃바운드의 경우에 네트워크 구간 및 사용량에 따라 차등 과금이 이루어진다.
4. Storage (클라우드 백업, SSD, HDD, Object Storage)
스토리지(Storage)이란?
대용량 데이터 저장장치를 의미한다.
클라우드 백업 : 클라우드 기반 서버에 중요 데이터의 중복 복사본을 여러 개 저장하는 방식이다. 파일 혹은 디렉터리 단위로 백업이 진행되며, 백업의 단위는 Client(고객)이 정할 수 있다. (ex, 주 단위 백업, 일 단위 백업 등)
SSD : 플래시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장치이다. 빠르고 효율성이 높은 저장장치이지만, 비용이 비싸다.
HDD :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장치이다. 데이터에 자주 접근하지 않고 저렴한 비용을 원할 때 적합하다.
Object Storage : 사용자가 인터넷상에 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구축된 오브젝트 스토리지이다. 안전한 보관 혹은 대용량 데이터, 서버 데이터의 백업 및 복구용도, 소스코드 백업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그렇다면, 어떻게 견적을 요청해야 될까?
필자는 아래와 같은 사항을 체크해서 클라우드 견적요청을 제안한다.
개발언어, DB, OS, 사용목적, Storage, 보안시스템(추후 협의)
사실상 위의 내용들을 모두 포함하고 알아두는 것도 중요하지만, 클라우드를 사용하려고 하는 운영자의 목적이 가장 중요하다. 트래픽이 많이 몰리는 웹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는지, 안정화를 위해 3-tier 구조를 사용할 것인지, 보안서비스는 어떤 것을 사용할 것인지, 백업서비스 사용여부까지 결정하면 클라우드 견적과 계약은 문제없이 진행될 수 있다.
↓ 함께 읽으면 좋은 포스팅↓
[주니어 PM] 주니어 기획자가 PM직무를 맡게 되었다.
필자는 SI 업체에서 약 2년간 기획자로써 일을했다. 주로 맡은 업무는 기능고도화, 메인화면 디자인개편, 구축프로젝트 등 다양한 프로젝트를 경험해보고 나니 '웹 기획'의 기본기를 다질 수 있
youngplan.tistory.com
[서비스기획] 기획자가 '알림톡, 앱 푸시 기획'시 알아두어야 할 것 (기획 항목, 마케팅 활용 동의
알림톡을 기획하고자 한다면 알림톡의 정의와 알림톡 기획, 법률상식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기획자가 알림톡 기획 시 체크해야 할 것들을 담았으니 작업 시 참고하여 진행하면 좋겠다. 알림톡
youngplan.tistory.com
[서비스기획] 기획자가 '알림톡, 앱 푸시 기획'시 알아두어야 할것 2 (카카오톡 알림톡과 친구톡
이전 포스팅에서는 기획자가 알림톡 앱 푸시 기획 시 알아두어야 할 것의 '기획 항목 및 마케팅 활용동의와 광고성 정보 동의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번포스팅에서는 카카오톡 알림톡과 친구톡
youngplan.tistory.com
'PM_프로젝트 매니저' 카테고리의 다른 글
[PM/infra] 다중 서버 환경에서 소스코드 동기화 문제와 로그인 세션 문제 해결하기 (sticky session) (0) | 2024.02.28 |
---|---|
[PM/infra] ip주소변경 방법과 공인 IP와 사설 IP의 차이점을 알아보자 (0) | 2024.02.22 |
[PM/infra] www. 설정은 어떻게 하나요? (도메인, 호스트네임, 서브도메인, www 설정, 네임서버, DNS) (0) | 2024.02.07 |
[PM/infra] PM이 클라우드 계약시 알아두면 좋은 것( SSL과 HTTPS, IPS, WAF 등 보안서비스,MSP 개념) (0) | 2024.01.26 |
[주니어 PM] 주니어 기획자가 PM직무를 맡게 되었다. (0) | 2024.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