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포스팅은 WWW.을 설정하는 방법과 도메인의 기본적인 지식에 대해 포스팅 해두었으므로 함께 보는것을 추천한다.
도메인이란?
가상공간에서 '인터넷상의 주소'로써, 숫자로 구성된 IP 주소를 알기 쉽고 기억하기 쉽게 문자의 형태로 변환한 것이다.
- 영문도메인(63자 이하) : 알파벳(a~z), 숫자(0~9), 하이픈(-)을 조합해서 사용한다.
- 한글 도메인(17자 이하) : 한글, 알파벳(a~z), 숫자(0~9), 하이픈(-)을 조합해서 사용한다.
IP(Internet Protocol)주소란?
인터넷에 연결되는 모든 기기의 위치와 식별을 위해 숫자(4개의 10진수)로 구성하여 부여된 고유 주소 (ex: 234.240.33.158)
공인 IP(Public IP)
인터넷 사용자의 로컬 네트워크를 식별하기 위해 ISP(인터넷 서비스 공급자)가 제공하는 IP주소이다. 공용 IP주소라고도 불리며 외부에 공개되어 있는 IP주소를 의미한다.
공인 IP 특징 알려줘!
- 공인 IP는 전세계에서 유일한 IP주소로써 외부에 공개되어 있기 때문에 인터넷에 연결된 다른 PC로부터의 접근이 가능하다.
- SK, KT, LG 등의 통신사를 이용하여 사용하는 인터넷망을 공인 IP라고 할 수 있다.
- 외부의 접근이 가능함으로써 공격 및 보안을 위해 방화벽 등의 보안 프로그램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사설 IP(Private IP)
일반 가정이나 회사 내 등에 할당된 네트워크의 IP 주소로써, 로컬 IP, 가상 IP라고도 한다. 주로 라우터에 의해 로컬 네트워크상의 PC나 장치에 할당된다.
사설 IP 특징 알려줘!
- 인터넷 공유기에 연결된 PC, TV, 스마트폰 등이 대표적인 사설 IP 주소이다. 외부에는 공개되지 않아서 외부에서 검색, 접근이 불가능한 IP이다.
- 주로 인프라 내부의 서버, DB에 접속할때 사용하게 되는 IP주소이다.
※ 사설 IP와 공인 IP의 차이
공인 IP (Public IP) | 사설 IP(Private IP) | |
할당 주체 | ISP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 | 라우터(공유기) |
할당 대상 | 개인 또는 회사의 서버(라우터) | 개인 또는 회사의 기기 |
고유성 | 인터넷 상에서 유일한 주소 | 하나의 네트워크 안에서 유일 |
공개 여부 | 내/외부 접근 가능 | 외부 접근 불가능 |
IP 주소를 변경하는 방법
어떤 경우에 IP주소를 변경하나요?
1. 인터넷 뱅킹이나 스트리밍 서비스를 해외 이용시 지역 차단을 해제하기 위해
2. 정부, ISP, 로컬 네트워크 제한을 우회 하는 경우
3. 사생활 보호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 VPN이란?
"Virtual Private Network(가상사설망)"의 약자로 인터넷 연결을 암호화하고 선택한 위치의 서버를 통해 데이터를 짧은 거리를 선택하여 통신하는 네트워크이다.
공인 IP 주소 변경 방법
1. VPN에 연결하여 IP 주소를 변경한다.
2. 프록시를 사용하여 IP주소를 변경한다.
3. Tor(The Onion Router)를 사용하여 IP주소를 무료로 변경한다.
4. 인터넷 모뎀의 플러그를 뽑아 다시 연결한 후 IP 주소를 변경한다.
5. ISP(SK, KT, LG 등 통신사)에 요청하여 IP 주소를 변경한다.
6. 네트워크를 변경( Wifi → 데이터/ BWifi → A Wifi)하여 다른 IP 주소를 얻는다.
↓ 함께보면 좋은 인프라 관련 포스팅↓
[PM/infra] PM이 클라우드 계약시 알아두면 좋은 것( SSL과 HTTPS, IPS, WAF 등 보안서비스,MSP 개념)
이전 포스팅은 클라우드 견적 요청 시 알아두면 좋은 것들과 더불어 견적요청을 위한 것들을 작성해 보았다. 웹호스팅부터 클라우드, 서버의 기본개념과 차이점에 대해 포스팅해 두었기에, 아
youngplan.tistory.com
[PM/infra] www. 설정은 어떻게 하나요? (도메인, 호스트네임, 서브도메인, www 설정, 네임서버, DNS)
오늘은 요 며칠간 나를 혼돈의 카오스로 만든 '도메인 및 DNS 네임서버'에 관하여 PM 및 기획자가 알아두면 좋은 도메인 관련 지식을 포스팅해보려고 한다. 시작은 이렇게 되었다. (Client) 도메인은
youngplan.tistory.com
[PM/infra] PM이 클라우드 견적을 요청하려고 할 때 알아두어야 할 것 (호스팅, 서버와 클라우드의
호스팅이란? 인터넷상에서 서비스를 운영하는데 필요한 서버 공간을 전체 또는 일부를 임대해 주는 서비스이다. - 호스팅의 종류 웹호스팅 클라우드 서버호스팅 - 웹호스팅? 서버? 클라우드? 세
youngplan.tistory.com
레퍼런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