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설계 시 고려사항 데이터 베이스 설계 시 지켜야 할 데이터의 속성이 있다. 데이터는 기본적으로 무결성, 일관성, 회복, 보안, 효율성, 확장성 등이 해당한다. ◼ 무결성 : 삽입, 삭제, 갱신 등의 연산 후에도 DB에 저장된 데이터가 정해진 제약조건을 항상 만족해야 한다. ◼ 일관성 : DB에 저장된 데이터들 사이나 특정 질의에 대한 응답이 처음부터 변함없이 일정해야 한다. ◼ 회복 : 시스템 장애 발생 시, 장애 발생 직전의 상태로 복구할 수 있어야 한다. ◼ 보안 : 외부 데이터 공격 혹은 노출, 변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어야 한다. ◼ 효율성 : 응답시간의 단축, 시스템의 생산성, 저장 공간의 최적화 등이 가능해야 한다. ◼ 데이터베이스 확장 : 데이터베이스 운영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지속..
저번 포스팅에 이어 홈페이지를 오픈하며 해결했던 개발 이슈에 대해 다뤄보겠다. [서비스기획/PM] 홈페이지를 오픈하며 해결했던 문제들 (feat1. 클라우드 및 인프라 환경 설정 편 ) 필자는 프로젝트 매니저로써 "첫 번째 OO홈페이지" 프로젝트를 오픈하며 발생했던 이슈들, 이슈 해결방법 들에 대해 공유해보고자 한다. 분명 기획자로 회사에 입사했는데 PM일을 하게 될 줄이야 youngplan.tistory.com 이전 포스팅 그리고 클라우드 이전에 따른 문제들이 궁금하다고 하면, 위의 게시글을 참고해보면 좋겠다. 클라우드 및 인프라쪽 이슈는 개발이슈만큼이나 중요했다. 그 이유는 네트워크 오류로 인해 사용자들이 접근 자체가 불가능하거나, 연결 불안정으로 인한 접속문제는 서비스 장애를 도래하고, 보안이슈는 ..
필자는 프로젝트 매니저로써 "첫 번째 OO홈페이지" 프로젝트를 오픈하며 발생했던 이슈들, 이슈 해결방법 들에 대해 공유해보고자 한다. 분명 기획자로 회사에 입사했는데 PM일을 하게 될 줄이야.. 현재 다니고 있는 회사에서 다양한 일을 경험해보는 것 같다. 문제가 뭐였는데? (feat. 1 클라우드 및 인프라 환경 설정 편) (1). 단순한 유지보수 사업에서 서버 이관까지 이어진 ing.. 💭 🙋♀️ 서버를 사용하려면 매년 계약해야 한다구요?@! 때는 바야흐로 기능개선 및 고도화 사업을 마치고 연간 운영사업을 논의하던 회의에서.. 👩 (나) : "서버업체는 어디와 계약되어있으신가요? " 🙋♀️ " 서버는 한번 계약을 진행하면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는 것 아니었나요?!!" 😭 👩(나) : "?!!!!
다중서버 환경에서 발생한 문제 배경 필자는 현재 다니고 있는 회사에서 클라우드 이관 작업을 PM 직무로써 경험했다. 그 과정에서 배운 것들을 기록하고자 한다. 클라이언트의 웹서비스 환경은 물리 서버 한대에 ' Web + DB + 저장장치'가 모두 구성된 웹호스팅 환경에서 로드밸런스, Web서버 두대, DB 서버를 각각 분리하여 클라우드 환경으로 이관했다. 클라우드 환경 이관 시 견적을 받아야 하는데, 서비스 사용 목적, 동시접속자 수, 회원 수, 서비스의 범위등 '트래픽'에 따라 구성되는 환경이 제 각각이다. 필자가 작성해 놓은 견적 요청 시 필요한 정보를 아래 링크로 공유한다. [PM/infra] PM이 클라우드 견적을 요청하려고 할 때 알아두어야 할 것 (호스팅, 서버와 클라우드의 호스팅이란? 인터넷..
이전 포스팅은 WWW.을 설정하는 방법과 도메인의 기본적인 지식에 대해 포스팅 해두었으므로 함께 보는것을 추천한다. 도메인이란? 가상공간에서 '인터넷상의 주소'로써, 숫자로 구성된 IP 주소를 알기 쉽고 기억하기 쉽게 문자의 형태로 변환한 것이다. - 영문도메인(63자 이하) : 알파벳(a~z), 숫자(0~9), 하이픈(-)을 조합해서 사용한다. - 한글 도메인(17자 이하) : 한글, 알파벳(a~z), 숫자(0~9), 하이픈(-)을 조합해서 사용한다. IP(Internet Protocol)주소란? 인터넷에 연결되는 모든 기기의 위치와 식별을 위해 숫자(4개의 10진수)로 구성하여 부여된 고유 주소 (ex: 234.240.33.158) 공인 IP(Public IP) 인터넷 사용자의 로컬 네트워크를 식별하..
오늘은 요 며칠간 나를 혼돈의 카오스로 만든 '도메인 및 DNS 네임서버'에 관하여 PM 및 기획자가 알아두면 좋은 도메인 관련 지식을 포스팅해보려고 한다. 시작은 이렇게 되었다. (Client) 도메인은 OO 업체에서 구매했는데, WWW. 이 부분은 어디에서 설정해야 하나요? 웹호스팅에 포함되어 있는 부분인가요? 따로 구매해야 할까요? 도메인을 구입하신 업체의 네임서버가 어느 업체로 되어있는지 확인하신 뒤에 네임서비스 메뉴에서 '호스트네임=서브도메인'을 WWW.으로 설정하면 됩니다. 두 문장으로 고객에게 답변을 전달하면 어떻게 될까? '이게 무슨 소리인가..' 하고 서로 답답한 상황만이 지속될 것이다. 아래 도메인과, 호스트네임=서브도메인, 네임서버, URL 개념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고객에게 해당 내용..
해당 글은 토스페이먼츠의 용어사전을 참조하여 포스팅했습니다. 가상계좌 가상계좌란? 온라인 결제를 위해 고객에게 발급되는 임시 계좌로써, '무통장입금'으로 불리기도 한다. 고객이 가상계좌를 요청하면, 고객의 이름으로 임시 계좌가 발급되고, 해당 계좌에 정확한 금액을 입금하면 결제가 완료된다. 무통장입금은 복잡한 본인인증 절차가 생략된다. 가상계좌 결제 프로세스 가상계좌의 특징 정해진 금액을 설정된 기한 내에 입금해야 한다. 또한, 주문의 입금 금액을 한번에 송금해야 한다. 입금 기한, 금액, 계좌번호, 은행이 모두 일치한다면 입금자명과 주문자명은 달라도 결제는 이루어진다. 결제를 요청시 가상계좌를 발급하기에 결제 완료 시점은 고객이 정한다. 결제를 미룰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카드결제 프로세스 : 인..
이전 포스팅은 클라우드 견적 요청 시 알아두면 좋은 것들과 더불어 견적요청을 위한 것들을 작성해 보았다. 웹호스팅부터 클라우드, 서버의 기본개념과 차이점에 대해 포스팅해 두었기에, 아직 안 읽은 분들은 먼저 읽고 오는 것을 추천한다. 견적요청 시 필요한 사항은 무엇이었지? 개발언어, DB, OS, 사용목적, Storage, 보안시스템 기본적인 사항인 개발언어, DB, OS, 사용목적, Storage 등을 모두 정했으면 추가적으로 서비스를 결정해야 하는데, 대표적으로 보안시스템과 MSP(Managed Service Provider)가 있다. MSP(Managed Service Provider)가 뭐야? 클라우드 환경 설정, 운영, 관리 등을 위한 기술 지원 서비스로써, 엔지니어가 방화벽 운영, 지원, 보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