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ra

다중서버 환경에서 발생한 문제 배경 필자는 현재 다니고 있는 회사에서 클라우드 이관 작업을 PM 직무로써 경험했다. 그 과정에서 배운 것들을 기록하고자 한다. 클라이언트의 웹서비스 환경은 물리 서버 한대에 ' Web + DB + 저장장치'가 모두 구성된 웹호스팅 환경에서 로드밸런스, Web서버 두대, DB 서버를 각각 분리하여 클라우드 환경으로 이관했다. 클라우드 환경 이관 시 견적을 받아야 하는데, 서비스 사용 목적, 동시접속자 수, 회원 수, 서비스의 범위등 '트래픽'에 따라 구성되는 환경이 제 각각이다. 필자가 작성해 놓은 견적 요청 시 필요한 정보를 아래 링크로 공유한다. [PM/infra] PM이 클라우드 견적을 요청하려고 할 때 알아두어야 할 것 (호스팅, 서버와 클라우드의 호스팅이란? 인터넷..
이전 포스팅은 WWW.을 설정하는 방법과 도메인의 기본적인 지식에 대해 포스팅 해두었으므로 함께 보는것을 추천한다. 도메인이란? 가상공간에서 '인터넷상의 주소'로써, 숫자로 구성된 IP 주소를 알기 쉽고 기억하기 쉽게 문자의 형태로 변환한 것이다. - 영문도메인(63자 이하) : 알파벳(a~z), 숫자(0~9), 하이픈(-)을 조합해서 사용한다. - 한글 도메인(17자 이하) : 한글, 알파벳(a~z), 숫자(0~9), 하이픈(-)을 조합해서 사용한다. IP(Internet Protocol)주소란? 인터넷에 연결되는 모든 기기의 위치와 식별을 위해 숫자(4개의 10진수)로 구성하여 부여된 고유 주소 (ex: 234.240.33.158) 공인 IP(Public IP) 인터넷 사용자의 로컬 네트워크를 식별하..
기획하는뇽뇽씨
'Infra' 태그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