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갓생기획입니다.
오늘 포스팅해볼 주제는 "A-Z까지의 프로세스를 경험해 본 기획자", "서비스 기획단계에서 출시 및 운영까지의 경험", "a-z까지 주도적 업무 경험" 등의 대한 해석을 5가지로 분류하여 정리해 보자.
해당 문구는 서비스기획자, UI&UX 기획자 채용공고를 통해 많이 봤던 문구일 것 이다.
필자는 'A-Z의' 문구를 보며 정확한 의미와 해석이 궁금해졌고, 경력서와 포트폴리오에 녹여낼 수 있는 방법을 작성해보려 한다.
주니어는 업무에 활용하여 해당 경험을 적극적으로 만들 수 있는 기회, 시니어 분들께서는 본인의 경험을 어떤 식으로 녹여내면 좋을지 함께 생각해 볼 수 있는 의미 있는 포스팅이기를 바란다.
A-Z까지 모두 경험해 본 기획자
서비스 구축 경험에 대해 묻는 것이다.
신규 서비스 론칭 혹은 프로젝트 구축 및 출시 경험
1. 하나의 기획 프로세스를 처음부터 끝까지 경험한 기획자
서비스 기획의 전 과정을 경험한 사람을 의미한다.
A-Z의 A, B, C.. Z 알파벳은 시작과 끝을 의미하며,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단계를 경험했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해석하면,
- 기획자의 전반적인 역량이 검증된 것 (전체 사이클을 경험)
- 신입이 아닌 경력자로서 A부터 Z까지 주도적으로 수행 가능하다는 의미를 지님
1) 프로세스 관점에서 본 A-Z
기획서 작성 (IA, 화면설계, 프로세스) → 개발팀/디자이너와 협업 → QA → 배포 및 론칭 → 유지보수
2) 아이데이션 관점에서 본 A-Z
아이데이션 → 콘셉트/아이디어 도출 → 문제정의 → 가설 (퍼널분석, 설문, 로그검증, 페르소나 등) → 검증 (A/B테스트, KPI 검증)
2. 다양한 도메인을 경험한 기획자
특정 분야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산업군과 서비스 도메인을 경험한 것을 의미한다.
A-Z = 다양한 분야/ 직군/ 도메인을 경험했다는 의미
해석하면,
- 특정 도메인에 편중되지 않은 기획 경험을 보유하고 있는지 확인
- 다양한 업계의 '베스트 프랙티스'를 이해하고 활용 가능한지 확인
* 베스트 프랙티스(Best Practice) : 경영 목적을 지속적이고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가장 성공적인 해결책이나 문제 해결방법 ( 목표를 달성하는데 적절하고 효과적인 수단을 확인하고 수행)
ex) IT 산업군, 서비스 도메인 예시 👇
하드웨어 |
소프트웨어 |
IT 서비스& 플랫폼 |
|||
컴퓨터 및 서버 | PC, 노트북, 워크스테이션, 서버 | 운영체제 | Windows, macOS, Linux, Android, IOS | 인터넷 서비스 | 포털(네이버, 구글), 검색 엔진 |
반도체 | CPU, GPU, 메모리, 반도체 제조 | 클라우드 플랫폼 | AWS, Azure, Google Cloud | 전자상거래(이커머스) | 쿠팡, 아마존, 쇼피파이 |
네트워크 장비 | 라우터, 스위치, 모뎀, IoT기기 | 데이터 베이스(DBMS) | Oracle, MySQL, MongoDB | 핀테크 | 온라인 결제, 블록체인, P2P 대출 |
모바일 기기 | 스마트폰, 태블릿, 웨어러블 디바이스 | 보안 소프트웨어 | 백신, 방화벽, 암호화 솔루션 | 소셜미디어 |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트위터 |
디스플레이 | OLED, LCD, 마이크로 LED | 개발 툴& 프레임워크 | Git, Docker, Kubernetes, React, Node.js | 게임 산업 | 콘솔 게임, PC 게임, 모바일 게임 개발 |
스마트 가전 | AI 스피커, 스마트 TV, 스마트홈 디바이스 | 엔터프라이즈 솔루션 | ERP, CRM, SCM, HR 솔루션 | AI& 빅데이터 | 머신러닝, 챗봇, 데이터 분석 서비스 |
헬스케어 IT | 디지털 헬스, 원격 의료, 의료 AI | ||||
모빌리티 &스마트 시티 | 자율주행, MasS, 스마트 교통 |
예시
◾ 커머스, SNS, B2B SaaS, 플랫폼 등 다양한 서비스 기획 경험
◾ 웹, 앱, 하드웨어 등 다양한 디바이스 환경에서 기획 경험
◾ 스타트업, 대기업, 에이전시 등 다양한 조직 문화 경험
3. 기획부터 운영까지 책임지는 기획자
단순 문서 작성이 아닌, 실제 실무 KPI를 기반으로 성과까지 책임지는 기획자
A-Z = 기획(Planning) 뿐만 아니라, 출시(Execution)와 운영(Operation)까지 관여
해석하면,
- 실무에서 단순히 기획안만 작성하는 게 아니라 (문서에 국한되지 않고) 실제 시장조사- 문제정의-가설-검증을 진행하여 KPI 기준 성과를 낼 수 있는 사람
- 단기적 기획, 단순한 수정 및 개선이 아닌 '장기적인 서비스 성장'에 기여하는 인물인지 확인하고자 함
예시
◾ 제품 초기 기획(MVP) → 개발 협업 → 서비스 론칭 → 데이터 분석 및 개선
◾ UX 기획 → AB테스트 → 사용자 피드백 반영 → 지속적인 오류사항 개선 및 업데이트
4. 성장형 기획자 (끊임없이 배우는 사람)
"모든 경험"을 했다는 것은 결국 학습과 성장을 의미한다.
A-Z = 과거의 경험이 아닌, 현재도 끊임없이 배우고 성장해 나갈 수 있는 잠재력 있는 사람인가를 확인
해석하면,
- "A-Z까지 경험했다"는 말은 완벽한 기획자가 아니라, 계속 성장할 수 있는 잠재력 있는 기획자라는 의미로도 해석
- "모든 것을 알고 있다"는 생각이 아닌, 자신의 부족함을 깨닫고 배우고 성장할 수 있는 사람인지 확인하고자 하는 의도
예시
◾ 기획뿐만 아니라 개발/ 데이터/ 마케팅까지 학습하는 기획자
◾ 변화하는 트렌드(예 : AI, Web3, Growth Hacking 등)를 빠르게 흡수하는 기획자
5. 범용성 높은 기획자 (Generalist vs Specialist)
특정 분야의 전문가(Specialist) 보다는 다방면에 능한 범용적 기획자(Generalist)에 가까운 사람인지를 확인하고자 함
[기획 + 마케팅], [기획 + 디자인], [기획 + PM]와 같이 한 가지 업무나 롤에 머물러 있지 않고, 다양한 도전을 받아들일 수 있어야 함
해석하면,
- AI 등장과 함께,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서 IT업계에서는 여러 가지 업무와 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적 기획자의 가치가 높다.
- 단, 특정 도메인의 깊이(Specialization)도 중요하기 때문에 밸런스 유지는 필수
- 본인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핵심 역량(Core Competence)을 발굴하고 관리할 수 있어야 함
예시
◾ UX 기획부터 데이터 분석까지 할 수 있음
◾ 프런트와 백오피스 설계를 모두 진행할 수 있음
◾ 서비스 기획 + 운영 + 개발 or 마케팅까지 고려한 기획서를 작성할 수 있음 ( 도메인에 대한 이해가 뒷받침되어야 하므로)
💡 인사이트(Insight)
기획자, 웹기획, 앱기획, UI&UX 기획, 서비스기획 채용공고에서 A-Z까지 모두 수행해 본 경험이 있는 기획자라는 말을 다른 표현으로
"서비스의 설계, 구축, 출시까지의 모든 프로세스를 높은 기여도로 경험해 본 분"
"기획서 작성, 구축, 운영 및 신규 서비스 출시 경험이 있으신 분"
"제품 기획/출시/운영/개선까지 전체 사이클을 주도적으로 이끌어 보신 분"
"서비스 기획부터 출시/운영까지 End-to-End 경험"
"신규 사업/서비스(Zero-to-One)를 설계해서 론칭 및 운영해 본 경험이 있으신 분"
등이 있다. 모든 채용공고에 공통적으로 1개 이상씩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함은, 그만큼 중요도가 높다는 뜻인데
경력이 3년 5년 10년 등 경력이 많다고 해서 모두가 해당 경험을 어떻게, 얼마만큼의 기여도로, 주도적으로 했을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경험의 깊이를 확인 불가/ 그래서 검증할 수 있느냐 없느냐가 중요 관건🎇)
(Worst😥) 단순히 해당 경험을 주도적으로 경험해 봤다, 나는 이만한 성과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다. 보다는
<<<<<<<<<<<<<<<
(Best😊) 어떤 문제를 어떻게 정의하고, [어떠한 방법(skill)]으로 해결했고, [~~한 결과]와 그 과정에서 [어떠한 배움과 개선포인트]를 도출해 냈고, [러닝포인트]를 다른 프로젝트나 업무 진행 시 [어떠한 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었다~라는 식의 포트폴리오가 더 설득력 있을 것 같다고 생각한다.
글을 마치며,
기획도, 디자인도, 마케팅도, 개발도, 데이터분석도, 툴 사용경험도 모두 중요하게 평가받는 모든 K-기획자들 ...
존경하고 항상 응원합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함께 읽어보면 좋은 글 ▼
[서비스기획] IA(Information Architecture) 정보구조도 작성 방법과 내비게이션 설계를 통한 사용자 UX
정보구조도(Information Architecture, IA)란?정보구조도란 서비스 내 정보의 배치와 흐름을 시각화한 설계도이며, 서비스 목차 역할을 수행하는 문서이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원하는 정보를 쉽고 빠
youngplan.tistory.com
2025.03.26 - [⭐ 서비스기획/💻 데이터 분석] - [서비스기획] 프로덕트 데이터 분석에 필요한 핵심 기술과 대표적인 분석 방법론에 대해 알아보자
[서비스기획] 프로덕트 데이터 분석에 필요한 핵심 기술과 대표적인 분석 방법론에 대해 알아보
1. 프로덕트 데이터 분석에 필요한 핵심기술아래 3가지 기술은 실무에서 사용되는 기술과 역할, 사용예시, 활용도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프로덕트를 분석하는 행위는 주로 사용자 행동과 비즈
youngplan.tistory.com
2024.04.24 - [⭐ 서비스기획/💻 데이터 분석] - [서비스기획] 데이터 설계시 필요한 개인정보 마스킹 처리 기준과 예시에 대해 알아보자
[서비스기획] 데이터 설계시 필요한 개인정보 마스킹 처리 기준과 예시에 대해 알아보자
이번 포스팅은 개인정보와 관련된 데이터 설계시 알아두면 좋은 '개인정보 마스킹 처리 기준'에 대해 작성해보고자 한다. 백화점, 카페, 영화관 등 키오스크나 단말기에서 개인정보를 입력할때
youngplan.tistory.com